2023년 10월 CPI 분석

 아침에 CPI 결과가 나왔다. 예상치보다 낮게 10월 Core inflation이 0.2% 증가했고, 전체 inflation 은 증가하지 않았다. Core inflation은 원유와 곡물 가격을 제외한 물가라서 국내 경제 활동과 노동시장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 올해 CPI 의 월간 변화는 작년에 비해 상당히 안정적이다. 10월초부터 Crude oil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체 물가가 안정되는데 큰 기여를 했다.



CPI를 항목별로 살펴 보면, 신차와 중고차 가격, 항공료, 음식, 의류, 컴퓨터, 숙박료, 등등 전반적으로 10월에 하락한 항목들이 많아서 고물가의 시대는 끝난 것 같다. 전쟁이 두군데서 진행되고, 사우디가 대규모 토목 프로젝트에 돈을 대려고 감산을 했는데도 원유가격이 떨어지는 것을 보면 확실히 수요가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은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정부채권가격은 크게 올랐고, 주식도 대부분 지수가 1% 이상 오르고 Small cap index 인 Russell 2000은 5% 넘게 올랐다. 지난 10월 31일에 글을 쓴 이후 예상대로 valuation discount 가 해소되어가는 과정인 듯 하다. 

안정적인 CPI를 받아본 이상 Fed의 금리 정책은 선회할 수 밖에 없다. 물가가 2%~3% 수준인데, 단기 금리가 5% 수준이라면 소비자입장에서는 물건을 사는 것보다는 단기 금리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소비감소가 빠르게 이뤄지고 그에 따라 자칫 경제 위기를 맞을 수 있다. 더불어 2024년 미국 대통령 중간 선거가 있기 때문에 경기 하강을 극도로 피하는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2024년에는 Fed가 예상연간물가상승률인 3% 수준까지 이자율을 내리지 않을까 짐작해본다. 

내년중반까지는 장기 채권이나 주식시장에 좋은 상황이 펼쳐질 것 같다. 지나친 경기 과열과 고물가가 지나갔으므로 정부나 Fed 입장에서 필요하면 빠르게 경기 확장정책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 이자율이 하락함에 따라 채권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주식은 valuation discount가 해소되면서 상승을 이어갈 듯 하다. 이자율이 하락하면 이자비용이 감소하니 회사들의 net income도 증가되면서 실적향상에 의한 랠리도 기대할 수 있을 듯 하다. 

단 하나, Fed가 금리하락을 늦게 시작할 경우 이미 여러분야에서 물가 하락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Deflation 상황을 맞을 수 있다.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자세를 유지 하면서 Fed가 어떤 발언을 내는지 신경써야 하겠다.

댓글

인기있는 글들

한국에 좋은 경영대가 들어서기 힘든 이유...

양호한 월마트 2분기 실적과 경제 지표들, 2024년 8월 15일

관세와 경기 침체.. 주식시장은 얼마나 떨어질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