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투자인 게시물 표시

관세로 인한 노동시장의 영향, 그리고 채권이 더 나아 보이는 이유.

이미지
 오늘 발표된 취업자수 (177k)는 예상치 (130k) 보다 월등히 많았다. 이번 조사는 4월 12일까지 수치다. 트럼프의 상호관세는 4월 9일부터 적용되었다. 따라서 상호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수입을 늘린 3월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의 상황을 보여준다고 봐야하겠다. 좀 더 최근 기간에 조사된 Dallas Fed, Richmond Fed, NY Empire, S&P PMI 등은 지속적으로 노동시장의 위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4월 중순이후에는 노동시장 위축이 시작되었던 듯 하다.  좌우간 발표된 수치가 예상치를 넘어섰으므로 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여기에 이틀전 MSFT와 META의 실적이 좋게 나오면서 AI에 대한 시설투자가 지속될거라는 긍정적인 전망도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이 드디어 관세협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것도 긍정적이었다.  실업률 리포트를 깊이 살펴 보자. Revision을 보면 지난 3개월치가 지속적으로 하향조정되었다. 따라서 이번달 숫자 역시 시간이 지나면 내려갈 확률이 많다고 봐야겠다. 작년부터 지속적으로 숫자를 좋게 발표해 놓고 다음달에 수정하는 일이 반복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2025년에만 벌써 124k가 처음 발표했던 것보다 낮게 수정되었다. 직장을 잃은 사람들이 설문조사에 응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산업별로 살펴 보면, 이번 취업자수 증가를 아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는 없다.  내구소비재 중 가장 중요한 자동차관련 산업의 취업자수가 큰 변화를 겪었다. 2월에 늘고 4월에 그만큼 줄어들었다. Stellantis 의 생산중단과 관련된 숫자일 수 있겠다.  미국은 소비국가이다 보니 유통업은 세개로 분류해 놓았다. 1) 도매, 2) 소매, 3) 운송 & 창고 등 전반적으로 취업자수가 증가했다. 특히 이번기간 (3월중순 ~ 4월 2주) 도매, 운송, 창고업의 취업자수가 크게 늘었는데, 1분기 GDP 리포트에서 나왔던 수입 급증...

하나씩 확인되어 가는 경기 침체의 조짐들

이미지
Federal reserve bank의 Beige book은 미국 각 12개 지방의 경기를 주요 회사들과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고 요약해 놓은 리포트다. 4월 리포트 내용을 들여다보면 대부분 지역의 경기 상황이 침체의 초입에 접어드는 느낌이다. 중요한 부분들을 발췌해봤다.   Just five Districts saw slight growth, three Districts noted activity was relatively unchanged, and the remaining four Districts reported slight to modest declines. -> 전반적인 경기: 5개 지역 약간 성장, 3개 지역 그대로, 4개 지역 경기하락. Employment was little changed to up slightly in most Districts, with one District reporting a modest increase, four reporting a slight increase, four reporting no change, and three reporting a slight decline. -> 노동시장: 한지역 성장, 4개 지역 살짝 성장, 4개 지역 그대로, 3개 지역 하락 Several Districts reported that firms were taking a wait-and-see approach to employment , pausing or slowing hiring until there is more clarity on economic conditions. In addition, there were scattered reports of firms preparing for layoffs . -> 여러 지역에서 고용을 미루거나 속도를 조절하고 있음. 여기저기서 구조조정을 준비중. Most businesses expected to pass through additional costs to cu...

내구제 주문, Chicago activity survey, 부동산

이미지
시카고 전국 경제 활동 지표, 3월  시카고 Fed가 발표한 전국 경제 활동 지표에 의하면 3월은 생산, 매출, 취업자수가 감소한 반면 소비와 부동산관련 지출은 늘었다. 3월달에 모기지 금리가 살짝 하락하면서 home sales가 늘어난 것과 비슷한 통계다. 생산, 매출, 취업자수 감소는 어제 발표된 Richmond Fed의 결과와 거의 비슷하다. 다만 시카고 Fed통계는 3월달의 것이고 Richmond Fed와 PMI는 4월달 통계이므로 그 중요성은 좀 뒤쳐진다 할 수 있다. 어쨋거나 전반적인 경제 활동은 3월에 위축되었다는 것을 확인해주는 통계인 듯 하다.  내구제 주문, 3월 전체 내구제 9.2% 증가 운송장비 제외하면 0% 증가 컴퓨터와 전자제품 -1.2% 감소 가전제품 -0.5% 감소 항공기 139% 증가 군용기 -9.4% 감소 내구제 주문 (Durable goods order) 는 3월에 갑자기 9.2%가 증가했는데, 항공기 주문이 139% 늘어난 것이 큰 요인이었다. 운송장비를 제외하면 3월은 신규 주문이 늘지 않았다. 상업용항공기 주문을 제외하면 Chicago activity index와 비슷하다.  부동산 3월 주택 판매는 4.02K였다. 작년 동월에 4.22k에 비하면 4.7% 감소했다. 주 초에 발표된 신규 주택 판매와 상반된 결과였다. 미국 주택 건설 Big 3중 하나인 Lennar 는 작년에 비해 올해 더 많은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 신규주택 inventory가 거의 역사적 고점이므로 어쩔 수 없는 상황이기도 하다. 

Non-Farm Payroll data 분석: 자넷과 지나의 무리수

이미지
 자넷과 지나의 무리수 선거를 앞두고 재무부 장관과 산업부 장관이 큰 무리수를 두는 것 같다. 몇주전 Fed 는 이자율을 무려 50bp 내렸는데, 보통 이렇게 크게 이자율을 낮출 때는 Fed가 경제의 심각성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금요일 (10월 4일) 에 발표된 실업률 수치는 4.3%에서 오히려 감소한 4.1%를 기록했다. 취업자 숫자도 기대치를 훨씬 웃돌아서 미국 경제가 강하고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다시 걱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 먼저 최근에 나온 경제 지표들을 살펴 보자.  Consumer confidence index 9월 소비자 신뢰지수는 감소했다. 소비자 신뢰지수와 실업률은 상관관계가 높아서 소비자 신뢰지수를 보면 9월 실업률이 높아졌어야 했다. 아래에 보여주겠지만, 정부일자리를 제외하면 실업율은 증가했다.  Present situation and expectation Conference board 에 매달 경제 선행지수와 다양한 경제 지표를 발표한다. 9월 동행 및 선행지표는 감소했다. 소비자가 느끼는 경기 상황은 여유롭지 않다.  Job market discrepancy between government data and private party data Conference board에서는 노동시장분위기도 조사하는데, 최근 2년동안 CB의 조사결과와 정부의 비농업부분 취업자의 숫자가 급격히 다른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정부통계는 증가하고 있는데 민간통계는 감소하고 있다. 정부는 최근 작년 12개월동안 비농업 취업자수를 80만개 낮게 수정 발표한 적이 있고, 그 이후로 많은 투자자들이 정부 수치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  각 지역별 Fed들이 발표하는 수치들도 민간 연구소가 발표하는 것과 비슷하게, 9월 노동시장이 약화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Richmond Fed Service sector employment index Richmond ...

중국의 deflation 수출과 유럽의 위기

이미지
 중국의 deflation 수출과 유럽의 위기 중국 투자자들은 지속적으로 국채를 사고 있고 이에 따라 이자율은 계속 하락중. 국채가격과 이자율은 역의 관계가 있다. 이자율이 하락하고 있다는 것은 국채 가격이 상승함을 의미한다. 중국 경제 매우 어렵다는 증거. 신흥국에서 Deflation을 찾기가 힘든데, 중국은 1년째 deflation을 경험하고 있다.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 2023년부터 가격을 깍아가면서 수출하고 있다.  중국의 수출 물가인데, 2023년, 2024년의 전세계적인 물가상승과 반대로 중국의 수출물가는 하락하였다. 중국은 살아남기 위해, 공장을 멈추지 않기 위해 물건을 전세계에 덤핑하고 있다. 그 영향은 유럽에 크게 미치고 있다. VW 는 87년 역사 최초로 공장을 닫을 계획을 하고 있다. 여기에 인텔의 실적악화로 독일공장 계획을 취소하면서 우려는 커졌다.  그리고, 오늘 발표된 Eurozone PMI. 전반적인 경제 여건이 악화되고, 생산, 소비, 노동시장 모두 위축되고 있다.  PMI 리포트 마지막에 Hamburg Commercial Bank 최고 경제학자의 이야기를 요약하면 유로존은 Stagnation에 접어들고 있음. 제조업은 달이갈 수록 악화, 향후 매출 전망 암울. 회사들은 2020년 8월이후 가장 빠른속도로 일자리를 줄이고 있음. 보통 은행에 있는 경제학자들은 직장과 정부의 이해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기 쉽지 않다.  그 이후 아침에 발표된 미국 PMI리포트도 별반 내용이 다르지 않았다. 몇가지 인용해보자면.. "Optimism about output in the year ahead deteriorated sharply, the survey’s future output index falling to its lowest since October 2022 and the second lowest seen this side of the ...

매우 비싼 주식, 불안한 경제: subprime autoloan, 파산, 옥수수 밀 가격

이미지
주식을 팔 시점인 것 같다.   8월5일 단기 저점을 찍고 S&P500과 NASDAQ은 거의 전고점까지 회복했다. 그 단기 저점부터 지금까지 누가 끌어 올렸는지 짐작할 수 있는 데이터가 두 가지가 있다.  먼저 Bank of America 에서 발표한 8월달 Fund Manager survey에 따르면 기관투자자들은 주식을 팔고 채권을 샀다.  예외적으로   Risk parity 펀드들은 변동성이 높으면 주식을 팔고 낮으면 사기 때문에 최근 저점이후에 주식을 매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헷지펀드들도 최근 저점에서 매수세를 보였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펀드들은 다양한 전략이 있기 때문에 이들이 방향성을 보고 투자한 것인지 Short recovery 인지 정확히 판단하긴 힘들다.  두번째, 최근 저점에서 SPY ETF에 돈이 몰렸다. 대형 기관투자자들은 SPY ETF를 사지 안고 선물을 사거나 아니면 직접 개별주식에 투자해서 인덱스 펀드를 만들기 때문에 SPY ETF는 대부분 개인 물량이다. 최근 저점에서 개인들이 거의 올인 수준으로 투자를 감행했다.   그러나, 경제의 펀더멘탈은 좋지 않다. 일단 Job opening과 wage inrease가 빠른 속도록 감소 하고 있다.  U of Michigan survey 에 의하면 가계들의 향후 수입 전망이 썩 좋지 않다 .  Tech 분야 layoff는 8월 중순까지 지난 4월 고점근처. 이 트렌드라면 8월은 1월보다 많은 감원이 발생할 수 있다.  Subprime Autoloan 의 경우 연체율이 이미 역사적 최고점 을 경신했다.  Financial Times에 의하면 Startup 파산은 2019년 대비 7배가 증가 했다. Bankruptcy filing 도 작년에 비해 두자리수 % 증가를 보이고 있다.  옥수수와 밀 가격이 빠르게 떨어지고 있어서 deflation 압력이 강하다. 경기에 민감한 내구재의...

파산, 기업채권, spread 증가

이미지
파산, 기업채권, Spread 증가. 1) 기업 파산 신청 작년 대비 40% 증가.  2) 기업들은 2020년 이후 최대규모의 채권발행중. 3) 국채 이자율은 떨어지는데 회사채 이자율은 오르고 있음. 주식시장과 달리 현실은 회사들이 망하고 있으며, 자금확보를 위해 채권을 발행하고 있고, 국채 이자율과 반대로 기업채권의 이자율은 올라가고 있다.  위험을 피하고 안전한 투자를 해야 할 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