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무죄 무전유죄, CJ장남의 2만 7천원벌금

CJ장남이 대마를 피운것도 모자라 마약을 대량 운반했는데, 구속하지도 않고 벌금 2만 7천원. OECD가입국, 인당 GDP 3만달러 대한민국의 법원 선고다.... 법원은 스스로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중벌이라고 판결중에 얘기하고서 초범 운운하며 집행 유예 4년을 선고했다. 마약 운반은 마약사용보다 더 중벌이다. 고신해철이 지하에서 파안대소를 하고 있지 않을까. 대마 두모금 마시고 구속수감, 두번째는 9개월 수감. 이승철도 구속수감 + 5년간 방송출연금지를 당했다. 보통사람이 그랬으면 인천공항에서 바로 수갑차고 적어도 5년은 콩밥을 먹었을 텐데.. 돈만 있으면 무기징역이 2만7천원으로 변신하네.... 이래서 우리나라 술 소비량이 많다. 화병도 많고.

분식회계와 표창장.

삼성바이오로직스(삼바) 분기보고서의 "대표이사 등의 확인"란을 보면 대표이사 김태한과 이사 김동중이 서명했다. 분기 보고서가 허위가 아님을 확인하는 서명이다. 그런데, 논란인 정경심교수의 영장심사를 맡았던 송경호 판사는 삼바 대표이사는 제외하고 부사장부터 대리까지 구속시켰다. 대리가 무슨권한이 있어서 증거를 인멸하고 분식회계를 주도했을까. 당시에도 굉장히 이해하기 힘든 결정이었다. 분기보고서가 정확하다고 서명한 당사자를 구속하지 않고 부하직원들을 구속하였으니, 앞으로 대표이사의 분기보고서 서명은 의미가 없어져버렸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Worldcom과 Enron 분식회계 사건 이후 Sarbanes-Oxley Act 라는 법이 2002년에 실행되었는데, CEO나 CFO가 재무재표나 반기 연간 보고서에 반드시 서명해야 하고 법적인 책임을 지게 한다. 이법이 실행되기 전에도 불법적인 행위가 적발될 경우 CEO에게 더 큰 벌을 받게 했다. 실제로 2002년에 재판에서 Worldcom의 CEO는 25년형, CFO는 5년을 받고 수감되었다. 이외에도 송경호 판사는 가습기 살균제를 판매한 애경산업 대표의 구속영장은 기각하고, 관련자료를 은폐했다고 SK케미칼의 부사장을 구속한 적도 있다. 이해할 수 없다. 강한자에게 약하고 약한자에게 강한 구속판결. 과연 표창장이 분식회계보다 심각한 사건이었나.

미국과 한국의 퇴직 연금 제도는 어떻게 다른가.

한국의 국민연금 제도는 놀랍게도 1970년대에 시작되었는데 보통 2000년도에 시작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1999년부터 전국민을 상대로 국민연금이 의무사항이 되어서 그런 것 같다. 한국의 국민연금은 사회보장제도이기 때문에, 원래 목적에 의하면 가입자는 국민연금의 수익률과 상관없이 약속된 금액을 퇴직후에 받을 수 있어야 하고, 따라서 국민연금의 수익률에 대해서는 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한국에서는 국민연금 제도가 사회보장제도를 뛰어넘어 퇴직연금으로 인식되기도 해 가입자들이 연금의 수익률에 대해 상당히 많은 관심을 가진다. 아마도 '국민연금'이라는 이름 자체가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듯 하다. 퇴직연금제도나 사회보장제도에서 한국보다 조금더 역사가 깊은 미국은 어떨까. 한국의 국민연금에 해당하는 것이 Social Security Benefit인데, 미국인들은 이 펀드가 어떻게 운용되는지 알지 못한다. 실제로 Social Security는 세금으로 메꿔지고 있어서 운용이랄것도 없다. 한국의 국민연금도 결국은 세금으로 충당되는 구조가 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Social Security tax는 월급의 6.2%이고, 월간 최대 $8,200 정도를 떼어간다. 국민연금의 경우 9%정도, 월간 최대 40만원을 떼어간다. 퇴직후 수급금액은 여러가지 변수가 있지만, 두가지 모두 최소 생활을 가능하게 할 정도이지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하기에는 부족한 수익을 제공한다. 그나마도 채권 수익률이 하락함에 따라 사회보장제도의 미래가 밝지 않다. 한국의 경우 정부가 국민들에게 강제적으로 노후를 준비하게 하는 것은 국민연금 이상은 없어 보인다. 미국의 경우에는 좀 더 강제적이다. 영세업자나 자영업자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회사는 직원들을 의무적으로 퇴직연금에 가입시키도록 되어있다. 보통 월급의 3~10%정도를 본인이 부담하고, 회사는 본인 기여금에 따라 일정금을 같이 부담해주는 경우가 많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서는 약

경영학 교수는 왜 논문을 조금 쓰는가. AACSB, 경영학계의 사정

요즘 조국장관의 딸,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 대표 등의 아들 딸들의 논문 문제로 세상이 시끄럽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논문이란 것은 쓸일도 볼일도 없는데, 많은 교수와 연구자들이 논문을 쓰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언듯 생각하기에 경영학 교수들은 기업의 경영에 대해 가르치는 사람들이라 논문을 쓰지 않아도 될 것 같은 생각을 많이 하는 듯 하다. 학구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현실적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학교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는 경영대학은 인증에 따라 세가지로 나뉜다. AACSB, ACBSP, 또는 나머지. 이들은 각 경영학부또는 경영학과에 인증을 해주는 기관들이다. 학교마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 인증을 선택해서 검증받을 수 있다. 이중에 가장 좋은 것이 AACSB인데, 유명하거나 이름 좀 들어본 경영학부들은 대부분 AACSB인증을 받는다. AACSB 인증을 받은 학교에서 졸업한 학생들만 석사나 박사학위에 입학시켜주는 학교들이 많다. 예를 들어 나중에 MBA프로그램에 진학하고 싶은데, 학부를 AACSB인증이 없는 학교를 졸업했다면 학점이 아무리 좋았더라도 입학이 거부될 수 있다. 따라서 AACSB인증을 받아야 학생들을 모집하기 쉬워지고 MBA프로그램을 유지하기가 용이해진다. 전세계 경영대학중 오직 5%만 AACSB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AACSB인증을 받은 경영대학은 2017년에  19개 에 불과했다. AACSB는 경영학부나 학과가 논문을 쓸 수 있는 교수진을 확보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보통 5년동안 논문 2편 이상을 출간하는 교수가 경영학부에 50~70% 이상되어야 한다. 결국, 좋은 경영대학의 경우 인증을 받기위해 소속 교수들은 논문을 반드시 써야 한다. 그래서, tenure (정년) 심사할 때 학교마다 차이는 있지만, 보통 세편 이상의 논문을 Peer review Journal 에 출간하기를 요구한다. 세편이라면 별거 아닐것 같지만 자세한 사정을 알고 나면 쉽지 않은 목표다. 논문을

불안하다.

현재 나는 주식을 거의 다 팔고, 채권과 현금으로 바꿧다. 이유는 두가지였는데 오늘 한가지 더 늘었다. 첫째, 미국의 corporate bond가 얼마나 버틸지 걱정이 된다. 지난 10년동안 돈 많이 빌려다 썼는데, 최근 몇년사이 이자율은 2%가 넘게 올랐다. 0.2% 에서 2%다. 0.2 에서 2가 되니 이자비용이 얼마가 늘지는 계산하지 않아도 된다. 둘째, 중국도 돈을 너무 많이 빌렸다. 다 아시다시피, 중국의 기업들은 돈을 아주 많이 빌려다 썼다. 최근에 이 회사들 살려줄려고 중국에서 대출 제한을 풀어줬다. 그래도 중국주식은 별로 안올랐다. 관세문제가 풀릴거 같은데도 오름폭이 크지 않다. 중국은 이미 불황에 접어들지 않았을까. 셋째, 트럼프는 머지 않아 탄핵 될 듯 하다. 여태까지는 코헨이 버텨줬는데, 코헨의 장인어른을 트럼프가 털면서 사이는 틀어졌다. 코헨이 어제부터 마구 불어대고 있는데, 닉슨이 탄핵될 때와 비교하면 트럼프의 사안이 더 위중하다. 난 트럼프가 끝났다고 본다. 문제는 이 다음부터인데.. 답이 없다. 빨리 중국과 미국의 관세가 타결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말 힘들어 질 것 같다 불안하다. 2019년 1월 19일.

이익 불황 (earnings recession) 2018-01-05

주가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것을 하나 꼽으라면 향후 이익이다. 많은 리서치를 통해 기업의 수익과 주식수익률의 관계는 증명되었다. 더불어 애널리스트들의 향후 이익 추정치와 주식수익률의 관계도 밀접하다. 애널리스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기업 이익을 추정하는데, 미국와 우리나라의 이익 추정 방법은 약간 다른 듯 하다. 한국의 경우는 애널리스들의 추정치는 대부분 기업의 내부자들과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미국의 경우도 기업내부자들로 부터 정보를 얻는 경우도 있지만 각종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해서 추정치를 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래서 미국의 애널리스트 모집 공고를 보면 기본적인 통계분석 도구를 사용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애널리스트들도 인간이고 추정모델도 인간이 만든 것이라, 추정치가 현실보다 약간 늦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2007년에 발생한 금융위기를 뒤돌아 보면, 벌써 현실은 곡소리 나는데 기업이익 추정치는 빠르게 하향조정되지 않았었다. 애널리스트들의 잘못이라고 할 수도 없다. 그들도 보이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사람들이라, 위기가 갑작스럽게 닥칠 경우에는 이익추정치를 급하게 하향조정하기가 쉽지 않을 테니까. 2019년에는 전세계적인 GDP 감속이 예상된다. 큰 이유는 무역마찰인데, 내 생각엔 지금의 추정치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2018년에 미국의 경기가 좋았던 가장 좋았던 이유는 정부의 재정확장과 무역마찰이었다고 본다. 트럼프는 취임 후 지속적으로 경기 확장 정책을 펼치고 있고, 그로 인한 재정 적자와 대외 채무는 최고치를 경신중이다. 무역마찰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이유는 관세 부과전에 수출과 수입을 늘렸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2019년에 중국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기전에, 또 중국이 보복 관세를 추가적으로 부과하기 전에 수출, 수입을 처리했을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관련 업종들은 고용을 늘렸을 것 같다. 물론 짐작이다. 실제로 무역마찰 때문에 경제활동이 얼마나 늘었는지 추정할 방법은 없다. 꼭 그런

자전거와 레익쇼어

2009년 여름이었던 것 같다. 이모네집에 갔다가 와서 갑자기 Target(우리나라 이마트나 롯데마트 비슷한 곳) 에 가서 자전거를 질렀다. 무려 이백불이나 주고.... 그 때 당시 한달 용돈이 300불이었으니 엄청난 지출이었다. 그당시 가난한 유학생이었던 내게는 굉장한 사치였다. 이년동안 유학생활 하면서 운동을 전혀 하지 않아서였는지, 그냥 갑자기 자전거를 타고 싶었던 것 같다. 시카고 호수를 따라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 하는 사람들을 많이 보면서 부러웠기 때문에 사자마자 주말에 자전거를 타고 미시건 호수를 달렸다. 그냥 자전거가 있다는 사실이 좋아서, 그냥 달렸다. 대략 한시간 정도 달렸는데 정말 많이 힘이 들었다. 그만큼 체력이 안좋아졌다는 얘기겠지. 미시건 호수를 따라 달리다 보면 대부분은 사람들이 얼굴에 미소를 띄고 있었다. 젊은이들, 노인들, 어린이들 모두 따뜻한 햇살과 맑은 호수를 즐기며 바베큐도 하고 비치 발리볼도 하고.. 그 백사장에 앉아서 몸매좋은 젊은 남녀를 감상하는 것도 재미였다. 다운타운 주변에 있는 호수변에서는 여름마다 airshow도 했는데, 군산 미군 비행장에서 본 것보다 다양한 비행기를 볼 수 있는 기회였다. C-130, F-22, F-18, .... 등등. 낙하산 타고 뛰어 내리는 공수부대들도 있었다. 이 때쯤이면 호수가 하얀 보트들로 채워지는데, 언젠가 저런 보트를 타고 에어쇼를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죽기전에 해볼 수 있을까? 모르겠다. 여름이 되면 시카고 시에서는 미시건 호수에 야자수를 옮겨다 심어놓고 간단한 음료와 핫독, 햄버거를 파는 매대도 설치해놓곤 했다. 카누 카약 패들보트 같은 것도 빌려줬는데, 해질무렵 카누를 빌려서 호수에 나가면 저녁노을이 정말 아름다웠다. 자전거로 시카고 서버브에도 많이 다녔다. 메트라라는 통근 열차에 자전거를 싣고 유학생이었던 윤호주 그리고 일본에선 온 타카와 함께 근처 서버브에 자전거를 타고 여기저거 구경했었다. 여유롭고 잘 정리된 평화로운 마을들.. 그때는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