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이 모자란다고.....

지방 교육청 몇곳이 중앙정부에서 예산을 제때 주지 않아 은행에서 단기 차입을 했다는 소식이 있다. 중앙정부의 예산 수입이 작년보다 늦어서 그렇게 되었다고... 유럽의 경기하강, 석유가격하락은 부정적, 달러화 강세는 긍정적인데.. 전반적으로 보면 중앙정부의 세금 수입이 늘어나기는 힘든 상황이다. 유럽은 2009년 이후 그리스 스페인등의 나라들이 벌써 내부적인 문제를 겪어왔는데, 그나마 유럽 경제를 이끄는 독일이 이번엔 경기 하강을 겪고 있으니 유럽경기가 좋을 수 없다. 미국 경기는 좋으나 Fed에서 이자율을 올리고 싶어한다. 유럽의 경기가 좋지 않으니 이상황에서 이자율을 높이기는 쉽지 않겠지만, 이자율을 내리는 것은 현재 불가능한 상황이고 체면상 불과 몇개월전에 그만둔 양적 완화를 하기는 좀 어렵다. 아시아가 그나마 괜찮긴 하지만, 일본 경제는 해답이 될 수 없고, 중국을 바라봐야 할 상황인데.. 내수 경제가 아직 유럽과 미국에 비하면 턱없이 작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목마름을 해소해주기는 힘들것이다. 우리나라 얘기로 다시 돌아와서.... 올해 세금이 전년도에 비해 약 10%정도 덜 걷혔는데, 이유는 경기가 좋지 않아서라고 한다. 만약 이 말이 (세금을 내려서가 아니고) 맞다면.... 국고에 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부족한 국고를 채우기 위해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는 세금을 더 많이 걷고 적게 지출하면 된다. 주요 선거가 끝났기 때문에 지출을 줄이는 방법도 가능하겠으나 지방정부의 반발이 있겠다. 아마도 더 많은 세금을 거두려 할 것으로 본다. 두번째 방법은 다른곳에서 돈을 채우면 된다. 이자율이 낮아서 국채를 더 발행해도 나쁘진 않겠으나 국채가 워낙 빠르게 증가하였고, 주요 공사들의 4대강 관련 채권들의 만기도 돌아오기 때문에 채권을 발행하기가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그래도 급한불을 꺼야 한다면 국채를 발행하는 수 밖에... 우려되는 시나리오는.. 혹시 예전 97년 경제 위기때 공무원 연금에 손을 댄 전례가 있기 때문

미국 인플레이션이 걸림돌 되지 않을까.

캘리포니아발 인플레이션 이번 겨울 가끔 캘리포니아에 사시는 남훈이형과 통화를 하면서 매번 들었던 얘기가 '비가 안온다'는 말이었다. 캘리포니아 남부는 이번 겨울에 매우 심각한 가뭄이었는데 아직도 해갈이 되지 않은 모양이다. 더구나 캘리포니아 남부는 겨울을 제외하면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다고 하니 이번 겨울 가뭄의 여파는 꾀 오래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캘리포니아는 미국에 공급되는 채소, 쌀, 밀 등의 주산지이다. 가뭄의 영향으로 농사가 지연되고 생산이 지연됨에 따라 관련 곡식들의 가격이 상승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작년 봄과 여름에 지속된 중부지역의 가뭄으로 옥수수 가격이 상승했던 것에 비춰 보면 올해 봄과 여름으로 갈 수록 주요 곡식 가격상승에 따른 물가 상승을 피할 수는 없을 듯 하다. 기름값은 왜 오르나. 소비자 심리가 좋아지고 OPEC에서 원유 생산량을 줄임에 따라 원유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벌써 주유소에는 갤런당 4불을 넘어서 3월 초 보다 거의 1불 정도 상승해버렸다. 거기에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문제가 겹쳐 원유 가격은 당분간 고공행진할 가능성이 높다. 날씨가 따뜻해지고 여름방학이 다가오면서 향후 2~3개월 동안 휘발유 소비가 계절적으로 늘어나는 것도 기름값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다. 어째서 문제인가. 미국 정부는 인플레이션을 발표할 때 꼭 기름과 음식물 가격을 제외한 인플레이션도 같이 발표하는데, 그 이유는 그 둘은 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가깝기 때문이다. 보통 경제 참여자들의 소득 증가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은 긴축 정책으로 대부분 치유가 가능하지만, 기름과 곡식은 긴축 정책을 한다고 해서 생산이 늘거나 소비가 줄어들지 않는다. 즉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이다.  미국은 민간 소비가 GDP의  70%를 차지하는 경제인데, 개별 소비자들이 주유소에 더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한다면 다른 분야의 소비가 줄어들 수 밖에 없다. 2008년 휘발유 가격이 갤런당 5

Thoughts about Gold miners.

Thoughts about Gold miners. Pros Gold is near five year low.  China's demand Putin Miners pay good dividends and financially solid. Cons FED tapering and interest rate hike are negative for gold price. 200 bp rake hike in three years is quite certain. My view Sector rotation Do not know where we are in the economic cycle but it should be closer to the end of expansion than the beginning of it. For the last 3 months, Utilities was the best sector and Cyclicals was the second from the worst. For the last one month, Utilities, Basic Materials, Financial services were the best three while high risk sector such as Tech, Cyclical, and Healthcare lagged the market. Keeping those in mind, sector rotation model implies that we are about to pass the peak of an economic cycle. Risk appetite will move from high-risk to low-risk assets. Inflation and Staples I expect retailers will raise prices due to high demand this year. After people spent on housing and durables for th

푸틴의 도박.

Crimea 를 하루만에 그것도 주말을 끼고 점령. 과거에 우크라이나는 핵을 포기하면서 미국, 러시아와 핵우산과 방어조약을 체결했는데, 조약 당사국인 러시아가 쳐들어와 버렸으니...... 우크라이나나 미국 모두 멘붕.. 러시아 입장에서는 도박은 대성공으로  끝날 듯하다. 미국으로 꺼낼 카드는 제한적이고 벌써 군사적인 개입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경제적인 제재를 하겠다는데 러시아는 다시 한번 모라토리옴 선언한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없다. 군대는 강하고 핵미사일은 많으니까. Ukraine의 전략적 실수 이천여개의 핵탄두를 조약 체결이후 모두 러시아에 보내버렸고, 이후 러시아에 진 빚을 갚기 위해 초음속 전폭기들을 거의 다 줘버렸다. 이 나라는 이미 무장해제 상태였던 것. 무장을 해제 하였다면 일본처럼 경제 발전에 매진이라도 했어야 했는데, 오히려 EU에 가입해 경제적인 도움을 얻으로 하는 상황. 만기가 돌아오는 부채를 막지 못한다면 이 나라는 경제적으로도 망하는 상황. 러시아와 우리나라 사이의 가스관, 철도 사업도 불투명해질 듯. 러시아의 이권이 개입되는 순간 북한은 자칫 무장해제가 될 수 있기 때문. Ukraine의 경우를 반면교사로 삼는다면 북한 정권은 핵을 포기하지 않으려 할 것 같음. Ukraine이 러시아에게 무장해제 당한 것도 결국 러시아의 이권에 개입되었기 때문.

첫 등교

개학전에 오리엔테이션이라는 것이 있다. 한국의 오리엔테이션에 대한 기억은 술이 대부분이어서 미국에선 어떻게 하나 기대를 가지고 갔다. 자세히는 기억나지 않지만 쓸모있는 내용들을 알려줬던 것 같다. 집에서 학교까지는 버스나 지하철을 한번 갈아타고 거의 한시간이 걸렸다. 주로 이용한 노선은 147번 express 인데, 호수변 고속도로를 지나 다운타운으로 30분 만에 도착하는 버스였다. 굴절버스였는데, 운전기사는 주로 몸집이 있는 흑인남녀였다. 2007년 즈음엔 굴절버스들이 고장이 잦았다. 고속도로 중간에서 고장나 멈춰선 경우가 간간히 있었고, 집에 가는데 두시간이 걸리곤 했다. 시카고 동쪽으로는 미시건 호수가 있는데, 그 호수변을 따라 수 많은 콘도들과 빌딩이 있다. 호수와 맞닿아 있는 빌딩들은 값도 비싸고, 대부분 안전하다. 오프라윈프리가 살았다는 빌딩은 유일하고 고속도로에서 호수쪽으로 지어졌다. 시카고에는 유명한 건축물들이 많은데, 난 졸업하고 일년뒤까지도 잘 모르고 살았다. 학교에 가니 수 많은 중국학생들이 있었다. 60%는 중국, 30% 인도, 나머지는 일부의 백인과 한국사람들이었던 것 같다. 미국에 간건지 중국에 간건지 구분이 안됐다. 알고보니, 중국에는 일리노이공대 홍보 사무실이 있어, 사람들이 많이 온다고 한다. 그당시에 같이 온 중국인들만 하더라도 그렇게 세련되어 보이지 않았는데 최근에 오는 중국인들은 한국사람같이 옷을 입고 다녀서 구분이 쉽지 않다. 대만인들도 조금 섞여 있었는데, 한 대만인에게 나중에 사기를 당할뻔 해서 아직까지도 대만인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다. 중국인들은 한국인들을 좋아하고, 친절했다. 태국친구들도 우리에게 친절하고 착했다. 인도친구들은 말이 많은 편이었다. 워낙 아시아에서 온 친구들이 많다보니 미국인친구들의 숫자는 적어서 기이하게도 그들이 학교에서 소수민족이던 나에게 다가왔다. 동질감을 느꼈던 것일까. 한국인들은 열명정도 있었다. 대부분 석사과정으로 온 학생들이었고, 박사과정은 나 밖에 없었다. 알고보니

최악의 아파트

'좋은 동네에 안좋은 집을 사라' 부동산 투자의 격언이다. 이 격언은 투자하는 사람에게 해당되는 것이지 나 같이 세들어 사는 사람들에게 적용되지는 않는 말이었다. 처음 들어간 그 아파트에 관한 몇가지를 적어볼까 한다. (지은지 100년이 다 되어 가던...) 유학가거든 집은 좋은데 구하길 바란다.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은 소음이다. 요즘 한국에선 층간 소음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난 옆집의 소음이 문제였다. 옆집에는 싸이코가 한명 살았는데, 한달에 한두번 밤에 잠을 자다가 갑자기 미친듯이 소리를 질렀다. 거기다가 가끔은 여자친구와 전화로 싸우는지 동네가 떠나갈 듯 소리를 지르기가 다반사였다. 문앞에 노트를 적어서 붙여도 보고, 소리를 같이 질러 보기도 했지만, 그 싸이코를 조용히 시키기엔 역부족이었다. 결국 일년 반동안 그 산발적인 소음에 시달려야 했다. 싼방에 살다보니 단열이 될리도 없었다. 두번의 겨울을 그곳에서 보냈는데, 첫해는 정말 사정없이 추웠다. 시카고의 겨울이 춥기도 하였지만, 위풍이 들어오는 그 방에서 오개월에 가까운 버텨낸 나 역시도 되돌아 생각해보면 신기하다. 창문도 틀이 잘 맞지 않아 바람이 많이 들어왔는데, 집에서 밥을 하면 수증기가 창문에 붙어 얼어버려 결국엔 얼음 때문에 창문에 바람이 들어오지 않게 되었다. 정말 이모가 준 오리털 이불이 없었다면 얼어죽었을지도 모르겠다. 이듬해엔 아파트 시설관리인에게 말해 유리창을 모조리 실리콘으로 막아 버렸다. 화재가 나면 위험했으나, 일단 추위를 피하고 싶었다. 그래도 추우면 옷장에 가서 자곤했다. 가끔 설거지를 안해놓으면 바퀴벌레들이 들끓었다. 하루는 잠을 자고 있는데, 이상한 느낌이 나 방에 불을 켰다. 사방에 바퀴벌레들이 놀고 있었다. 잠시 방을 치우고 난뒤 다시 잠이 들었다. 어쩔 수 없었다. 그 사건 이후로는 절대로 설거지를 쌓아놓지 않았다. 바퀴벌레약도 사서 사방에 깔아놓았다. 다행히 효과가 있어 바퀴벌레를 그 이후엔 자주 만나지 못했다. 오래된 집이라 물도

북한의 자본주의화가 진행되지 안을까.

오늘 일본 관리가 북한에서 장시간 토론을 하고 돌아왔다는 신문 기사가 났다. 이번 일본 정부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이번 북한 방문의 목적은 그동안의 정치적인 이슈를 일단 옆으로 치워놓고 경제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경제적인 가치만 따지자면 북한만한 저임금을 가진 곳이 없다. 중국도 물가가 높아가고, 말레이시아 베트남은 이제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국제 거대 자본들이 속속 북한으로 몰려 들어갈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 세계 경제의 회복속도가 더딘 원인도 중국의 물가 상승이 한몫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생산기지의 물가 상승은 기업들의 수익감소로 이어질 수 밖에 없고, 비용 부담을 이기기 위해 다른 지역의 고용을 줄일 수 밖에.. 북한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자본들은 북한의 낮은 임금을 이용하고 싶은 인센티브가 충분하다. 중국에 있는 기지 몇개만 북한에서 생산해도 비용이 반 또는 삼분의 일로 줄어든다. 인프라가 없다고 걱정할 수 있지만, 북한은 작은 나라다. 도로 항만 건설하는데 오랜 기간이 걸리지 않는다. 개성공단 이후에 여기저기 더 공단을 만들고 저비용 구조를 이용하면서 북한을 경제적으로 남한에 의존하게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있는데.. 정치적인 이유로 그 기회를 일본이나 중국에 넘기고 있는 것 같아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