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25의 게시물 표시

2024년 1분기 GDP & 2024년 4월 ADP Employment

이미지
 1분기 GDP 성장율 데이터가 발표 되었다. 1분기 GDP는 전분기에 비해 0.3% 감소했다.  소비는 1.8% 증가, 투자는 22%증가, 정부투자 -1.4%, 수출 1.8%, 수입 41%.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1분기에 수입을 많이 한 영향이 제일 컸다.  각 항목을 살펴 보면 보면, 회사들이 수입물량을 늘려 재고를 쌓고 생산 시설을 일부 이전한 것이 드러난다. 관세의 영향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밖에 없다. 그렇다고 수입해서 늘려놓은 재고 물량이 향후 몇개월을 버틸 정도는 아닌 것 같다.  소비 1.8%증가 민간투자 22%증가 정부투자 -1.4% 수출 1.8% 증가 수입 41% 증가 아쉽게도 전분기보다 수입이 41%나 증가했음에도 소비는 1.8% 증가에 그쳤다. 경기에 민감한 내구재 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3.4% 감소했다. 코로나이후 최대폭 감소. 일시적인 수입증가, 재고/시설투자 증가등을 제외하고 계산해보면 GDP는   1.24% 증가한 듯 하다. 마이너스는 아니지만 2022년 Fed가 이자율을 공격적으로 올릴때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낮은 소비 증가는 Richmond, Dallas fed survey, S&P PMI, Consumer confidence 들에서 보았던 취업자수, 일자리 감소가 영향을 미치는 듯 하다. 오늘 나온 ADP 리포트에 의하면 취업자수는 줄어들었고 예상을 훨씬 밑 돌았다. 

텍사스 서비스업 동향, Consumer confidence, Job opening

이미지
 오늘은 텍사스 서비스업 동향이 나왔다. 왠만해선 텍사스 동향 조사는 따로 포스팅 하지 않는데, 눈에 띄는 부분들이 있어서 이번에는 간략히 써본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서비스업 노동시장인데, 크게 하락했다. 미국 경제가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더 크고 과거 몇년동안 서비스 부분의 도움으로 경제가 계속 발전했었다. 그런면에서 서비스업의 노동시장이 악화되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제조업과 비슷하게 투입비용의 증가가 판매가격의 증가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업활동도 급격히 악화되었다.  미 전역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신뢰도 역시 발표 되었는데 매우 부정적이다.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코로나보다 훨씬 안좋은 상황이다.  재무 상황이 좋다고 대답한 가계의 비율이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았다.  정부에서 집계하는 Job opening 숫자도 발표 되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계속 하락중이다.  보너스로 하나더.. 트럼프 당선이후 콘테이너 비용이 늘었다가 2025년 들어 상당폭 하락했다. 1분기에 미국의 무역적자가 작년에 비해 상당히 늘어난 것과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회사들이 관세를 피하려고 수입을 늘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코로나 이후 핫했던 텍사스 지역  노동시장의 버팀목이었던 서비스업의 고용마저 큰 폭으로 하락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투입비용이 판매 비용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 서비스업종의 수익성 악화가 예상됨 기업활동 위축중 소비자 신뢰도 급락 향후 전망 급속 악화 가계의 재무상황 악화 Job opening 감소중 컨테이너 화물 비용 감소 관세 이후 물동량 감소 미국의 경제 활동 위축이 단기간에 끝날 것 같지 않음. 

텍사스 제조업 동향.

이미지
 달라스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4월 제조업 동향이 어제 발표 되었다. 하나씩 살펴 보자. 일단 신규 주문이 추락했다.  고용도 감소했다. 신규 주문이 감소하니 고용도 감소할 수 밖에 없겠다. 고용감소 폭이 크지 않은 것은 회사들이 희망을 놓지 않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 같다.  제조 비용은 급격히 증가했다. -> 관세, 중국의 보복. 하지만, 소비자에게 크게 전가시키지 못하고 있다. -> 기업 수익률 하락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코로나 이후 최저치를 기록. 이번 조사에서는 관세에 대한 질문들도 있었는데 그 주요 내용을 요약해 보면 70% 이상 회사들이 관세가 회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소비자에게 비용전가려 시도하려는 회사가 많지만 큰 폭으로 전가하지 못할 회사가 44% 관세에 따른 소비자 가격 상승은 1~3개월 사이에 이뤄질 듯. 

하나씩 확인되어 가는 경기 침체의 조짐들

이미지
Federal reserve bank의 Beige book은 미국 각 12개 지방의 경기를 주요 회사들과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고 요약해 놓은 리포트다. 4월 리포트 내용을 들여다보면 대부분 지역의 경기 상황이 침체의 초입에 접어드는 느낌이다. 중요한 부분들을 발췌해봤다.   Just five Districts saw slight growth, three Districts noted activity was relatively unchanged, and the remaining four Districts reported slight to modest declines. -> 전반적인 경기: 5개 지역 약간 성장, 3개 지역 그대로, 4개 지역 경기하락. Employment was little changed to up slightly in most Districts, with one District reporting a modest increase, four reporting a slight increase, four reporting no change, and three reporting a slight decline. -> 노동시장: 한지역 성장, 4개 지역 살짝 성장, 4개 지역 그대로, 3개 지역 하락 Several Districts reported that firms were taking a wait-and-see approach to employment , pausing or slowing hiring until there is more clarity on economic conditions. In addition, there were scattered reports of firms preparing for layoffs . -> 여러 지역에서 고용을 미루거나 속도를 조절하고 있음. 여기저기서 구조조정을 준비중. Most businesses expected to pass through additional costs to cu...

내구제 주문, Chicago activity survey, 부동산

이미지
시카고 전국 경제 활동 지표, 3월  시카고 Fed가 발표한 전국 경제 활동 지표에 의하면 3월은 생산, 매출, 취업자수가 감소한 반면 소비와 부동산관련 지출은 늘었다. 3월달에 모기지 금리가 살짝 하락하면서 home sales가 늘어난 것과 비슷한 통계다. 생산, 매출, 취업자수 감소는 어제 발표된 Richmond Fed의 결과와 거의 비슷하다. 다만 시카고 Fed통계는 3월달의 것이고 Richmond Fed와 PMI는 4월달 통계이므로 그 중요성은 좀 뒤쳐진다 할 수 있다. 어쨋거나 전반적인 경제 활동은 3월에 위축되었다는 것을 확인해주는 통계인 듯 하다.  내구제 주문, 3월 전체 내구제 9.2% 증가 운송장비 제외하면 0% 증가 컴퓨터와 전자제품 -1.2% 감소 가전제품 -0.5% 감소 항공기 139% 증가 군용기 -9.4% 감소 내구제 주문 (Durable goods order) 는 3월에 갑자기 9.2%가 증가했는데, 항공기 주문이 139% 늘어난 것이 큰 요인이었다. 운송장비를 제외하면 3월은 신규 주문이 늘지 않았다. 상업용항공기 주문을 제외하면 Chicago activity index와 비슷하다.  부동산 3월 주택 판매는 4.02K였다. 작년 동월에 4.22k에 비하면 4.7% 감소했다. 주 초에 발표된 신규 주택 판매와 상반된 결과였다. 미국 주택 건설 Big 3중 하나인 Lennar 는 작년에 비해 올해 더 많은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 신규주택 inventory가 거의 역사적 고점이므로 어쩔 수 없는 상황이기도 하다. 

Manufacturing survey와 PMI; 신규 주문 감소, 생산단가 상승, 서비스업종으로 불황 확장

이미지
 Recession에 대한 우려는 많지만 실적이나 매출, GDP, 실업률등이 견조하게 유지 되고 있기 때문에 금융시장은 트럼프의 말 한마디에 출렁이고 있다. 경제 데이터중에 GDP, 실업률등 실제 숫자들을 hard data라고 하고, 그 전에 그들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survey 를 통해 발표되는 데이터들을 soft data라고 한다.  hard data는 조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서 보통 한 두달 정도 시간이 지나서야 발표 된다. soft data는 설문조사나 작은 샘플로 계산하기 때문에 hard data보다는 빨리 발표할 수 있다. 그래서 보통 soft data를 보면 hard data가 어느방향으로 흘러가는지 대충 짐작할 수 있다.  Softdata중에 하나인 Richmond Fed의 Manufacturing survey 를 살펴 보자. 이 설문조사를 통해 미국 동부 지방의 경기를 가늠할수 있다. 4월 신규 주문이 줄어들었고, 향후 전망도 좋지 않다. 가동율도 줄어들면서 근로자 숫자도 줄어들었고, 향후에도 줄어들 전망이다. 서비스지출이 줄어들고 있으므로 다른 서비스업들도 상황이 좋지 않을 것이다. 즉, 제조업 뿐만 아니라 서비스업 취업자수가 줄어들 전망이다.  Price paid는 지난 12개월동안 5.37% 오른 반면 Price received 는 2.66% 올랐다. output 대비 Input cost가 늘어나고 있으므로 향후 기업들의 이익 전망은 감소할 수 밖에 없다.  오늘 발표된 S&P global US PMI에서도 비슷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최근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생산단가와 판매단가가 증가하고 있지만, 판매단가증가율이 생산단가 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즉, 기업들의 이익전망은 계속 하락할 수 밖에 없다.  경기 예측에 매우 중요한 new order에 대한 평가도 있었는데, 미국 국내 주문은 늘었으나 수출주문은 줄었다고 한다. 중국을 제외하면 다른나라들은...

관세와 경기 침체.. 주식시장은 얼마나 떨어질 것인가

이미지
트럼프의 관세 발표 이후 목요일 금요일 이틀 동안 주식시장은 10% 넘게 하락하고 금리역시 4.2%에서 3.9%로 급격하게 하락하였다. 일단 수요일 오후에 발표된 관세를 살펴 보면 숫자가 상당히 충격적이다. 중국만이 아닌 전세계 주요 우방국에 20% 넘는 관세를 부과한다는 것은 무역규모를 줄이겠다는 선언이고 상호 관계를 악화시킬 수 밖에 없다.  두번째로 충격적인 것은 FTA를 맺은 EU, 일본, 한국등의 관세율이 50% 라고 써있는데, FTA가 있으므로 관세는 거의 0에 가까워야 한다. 한국의 실효관세는 0.7%. 목요일에 백악관에서 발표한 관세율 계산공식은 무역적자를 수입으로 나눈 것으로 관세율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무지에 기반한 이번 관세로 인한 경제적인 충격은 상당히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기자들을 불러놓고 기자회견을 하였으니, 자존심을 지키려 할 것이다.. 무역 상대국 입장에서도 잘못된 수식에 기반한 충격적인 관세를 부과했으니 구지 저자세로 협상장에 나갈 이유가 없다. 더구나 저자세로 선물을 안겨주었던 일본과 한국이 뒤통수를 맞는 것을 보았으니 EU를 비롯한 다른 선진국 경제 또는 지역 강국들은 미국의 자존심을 쉽게 살려주려 하지 않을 것이다.  관세로 인한 단기적인 인플레이션은 피할 수 없다. 수입할 때 관세를 내야하니 수입물가는 올라가고 가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거나 기업이 그만큼 손해를 봐야 한다. 하지만,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싶어도 소비자들의 수입이 늘지 않는다면 지속적으로 가격을 올릴 수는 없다. 중장기적으로는 recession이 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 지난 한달간의 미국국채 시장의 이자율이 감소했는데, 이는 인플레이션보다는 경기침체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들의 수입이 늘어날 수 있는가? 소비자들의 수입은 월급 아니면 투자 소득이다. 월급은 기업이 돈을 잘 벌어야 늘어나는데, 당장 관세를 내게 되면 기업들의 수익은 감소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월급이 오르는 것을 기대하기는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