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큰 영향은 없을 듯.

 무디스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하였다. 채권 시간외 거래가 마무리 될 시점에 발표되었고, 채권 금리는 스파이크 했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서 마감했다. 하지만, 연관된 ETF들은 8시까지 이어진 시간외 거래에서 하락했다.  2023년 8월에 피치가 신용등급을 강등했을 때는 2023년 11월까지 30년 금리가 1%가량 상승했었고, 채권시장은 타격을 입었었다. TLT의 경우 15% 하락했었다. 그 이후 두달만에 제자리로 돌아왔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YT (저자) 는 지속적으로 미국 국채를 매입할 생각이다. 무디스는 2023년 11월에 이미 미국 신용 전망을 부정적으로 발표했기 때문에 이번 신용등급 강등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보통 전망을 부정적으로 바꾸면 등급 하락은 예정된 수순이다. 이번에 발표 하면서 신용 전망을 안정적으로 발표 하였기 때문에 미국의 신용등급은 향후 몇 년간은 이대로 유지될 것이다. S&P와 Fitch도 미국의 신용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2023년과 지금의 경제 상황이 다르다. 그 당시는 물가를 잡기 위해 Fed가 매우 적극적으로 금리를 올리고 QT를 시행했었다. 물가 상승률도 연간 3프로 중반대였다.  지금은 물가상승률이 2% 중반대이고, 물가상승률보다 기준금리가 높기 때문에 Fed가 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거의 없다. 노동시장과 소비심리가 안좋기 때문에 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더 높다. Fed는 공식적으로는 QT를 하고 있지만, 2023년과 비교하면 그 규모는 많이 줄어들었다. 공식적으로 선언하지는 않았지만 장기물 국채 옥션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미국 국채에 대해 QE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다.  따라서, 다음주에 국채 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이 있겠지만, 2023년 8월과 지금의 경제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국채 금리가 그때처럼 상승하진 않을 것 같다. 2년전에 예고된 강등이기 때문에 금리발작은 빨리 마무리 될 것 같다. 미국채를 긍정적으로 본다면 ...

관세 전쟁과 제조업 경기

 오늘은 제조업 경기 리포트가 세개나 나왔다: 1) NY fed, 2) Philly fed, 3) Industrial production 먼저 아주 중요한 NY Fed 의 경우  전반적인 제조업 경기 위축 노동자 숫자 감소 원료 가격은 올랐으나, 판매 가격은 하락 Capex계획 감소 설문 기간은 5월 2일 ~ 9일 Philly fed는 뉴욕보다 작은 규모의 경제이기 때문에 중요성이 좀 덜한데, 주요 내용을 요약해보면 전반적인 제조업 경기가 위축되고 있고 신규 주문은 늘었느나 출하가 감소 원재료 가격상승폭이 판매 가격보다 높다. 노동자 숫자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 설문기간은 5월 5일 ~ 12일 4월 미국 전체 산업생산은 3월과 달라지지 않았다. 내용을 보면 소비재 생산 감소 산업재 생산 증가 건축 재료 생산 크게 감소 제조업 광업 하락 수도/전기/가스업 증가 자동차와 부품 제외하면 -0.3%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제조업의 부흥을 기대했으나 아직 그 효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노동자 숫자가 늘어나지 않고, 원료 가격은 상승하지만 판매 가격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제조업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아직도 bearish 한 이유

이미지
 S&P500 은 4월 중순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YT는 이 사이에 short position과 미 국채를 좀 더 늘렸다.  첫번째 이유는 이 랠리를 주도한 것이 개인 투자자들이다. 시장이 이렇게 올랐으면 기관들도 쎄게 들어올만 한데 short covering 말고는 의미있는 매수가 관찰되지 않았다. 둘째, 관세 협상이 타결되고 유통업체들이 미뤄놨던 주문을 한다면, 컨테이너 운송료가 상당히 올라야 할 텐데 전혀 그렇지 않다. Baltic Dry index는 오히려 하락중이다.  셋째, 유통업체들은 관세를 소비자에게 전가한다고 선언했으나 4월의 물가상승은 예상보다 낮고 연간으로는 판데믹 이후 가장 낮은 수치였다. 천연가스 가격을 제외하면 물가상승은 거의 없었다. 특히 4월 중고차 가격이 3월에 비해 하락했는데, 관세부과 이후에 중고차 시장에서 가격 인상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것 같다.  내일 retail sales 데이터가 나오는데 Chicago retail sales nowcast는 4월에 감소한 것으로 전망중이다.  소매업체들이 소비자들에게 관세를 전가한다면 물가와 retail sales가 올라야 한다. 하지만 데이터는 다른 현실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관세로 인한 노동시장의 영향, 그리고 채권이 더 나아 보이는 이유.

이미지
 오늘 발표된 취업자수 (177k)는 예상치 (130k) 보다 월등히 많았다. 이번 조사는 4월 12일까지 수치다. 트럼프의 상호관세는 4월 9일부터 적용되었다. 따라서 상호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수입을 늘린 3월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의 상황을 보여준다고 봐야하겠다. 좀 더 최근 기간에 조사된 Dallas Fed, Richmond Fed, NY Empire, S&P PMI 등은 지속적으로 노동시장의 위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4월 중순이후에는 노동시장 위축이 시작되었던 듯 하다.  좌우간 발표된 수치가 예상치를 넘어섰으므로 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여기에 이틀전 MSFT와 META의 실적이 좋게 나오면서 AI에 대한 시설투자가 지속될거라는 긍정적인 전망도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이 드디어 관세협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것도 긍정적이었다.  실업률 리포트를 깊이 살펴 보자. Revision을 보면 지난 3개월치가 지속적으로 하향조정되었다. 따라서 이번달 숫자 역시 시간이 지나면 내려갈 확률이 많다고 봐야겠다. 작년부터 지속적으로 숫자를 좋게 발표해 놓고 다음달에 수정하는 일이 반복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2025년에만 벌써 124k가 처음 발표했던 것보다 낮게 수정되었다. 직장을 잃은 사람들이 설문조사에 응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산업별로 살펴 보면, 이번 취업자수 증가를 아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는 없다.  내구소비재 중 가장 중요한 자동차관련 산업의 취업자수가 큰 변화를 겪었다. 2월에 늘고 4월에 그만큼 줄어들었다. Stellantis 의 생산중단과 관련된 숫자일 수 있겠다.  미국은 소비국가이다 보니 유통업은 세개로 분류해 놓았다. 1) 도매, 2) 소매, 3) 운송 & 창고 등 전반적으로 취업자수가 증가했다. 특히 이번기간 (3월중순 ~ 4월 2주) 도매, 운송, 창고업의 취업자수가 크게 늘었는데, 1분기 GDP 리포트에서 나왔던 수입 급증...

2024년 1분기 GDP & 2024년 4월 ADP Employment

이미지
 1분기 GDP 성장율 데이터가 발표 되었다. 1분기 GDP는 전분기에 비해 0.3% 감소했다.  소비는 1.8% 증가, 투자는 22%증가, 정부투자 -1.4%, 수출 1.8%, 수입 41%.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1분기에 수입을 많이 한 영향이 제일 컸다.  각 항목을 살펴 보면 보면, 회사들이 수입물량을 늘려 재고를 쌓고 생산 시설을 일부 이전한 것이 드러난다. 관세의 영향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밖에 없다. 그렇다고 수입해서 늘려놓은 재고 물량이 향후 몇개월을 버틸 정도는 아닌 것 같다.  소비 1.8%증가 민간투자 22%증가 정부투자 -1.4% 수출 1.8% 증가 수입 41% 증가 아쉽게도 전분기보다 수입이 41%나 증가했음에도 소비는 1.8% 증가에 그쳤다. 경기에 민감한 내구재 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3.4% 감소했다. 코로나이후 최대폭 감소. 일시적인 수입증가, 재고/시설투자 증가등을 제외하고 계산해보면 GDP는   1.24% 증가한 듯 하다. 마이너스는 아니지만 2022년 Fed가 이자율을 공격적으로 올릴때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낮은 소비 증가는 Richmond, Dallas fed survey, S&P PMI, Consumer confidence 들에서 보았던 취업자수, 일자리 감소가 영향을 미치는 듯 하다. 오늘 나온 ADP 리포트에 의하면 취업자수는 줄어들었고 예상을 훨씬 밑 돌았다. 

텍사스 서비스업 동향, Consumer confidence, Job opening

이미지
 오늘은 텍사스 서비스업 동향이 나왔다. 왠만해선 텍사스 동향 조사는 따로 포스팅 하지 않는데, 눈에 띄는 부분들이 있어서 이번에는 간략히 써본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서비스업 노동시장인데, 크게 하락했다. 미국 경제가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더 크고 과거 몇년동안 서비스 부분의 도움으로 경제가 계속 발전했었다. 그런면에서 서비스업의 노동시장이 악화되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제조업과 비슷하게 투입비용의 증가가 판매가격의 증가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업활동도 급격히 악화되었다.  미 전역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신뢰도 역시 발표 되었는데 매우 부정적이다.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코로나보다 훨씬 안좋은 상황이다.  재무 상황이 좋다고 대답한 가계의 비율이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았다.  정부에서 집계하는 Job opening 숫자도 발표 되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계속 하락중이다.  보너스로 하나더.. 트럼프 당선이후 콘테이너 비용이 늘었다가 2025년 들어 상당폭 하락했다. 1분기에 미국의 무역적자가 작년에 비해 상당히 늘어난 것과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회사들이 관세를 피하려고 수입을 늘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코로나 이후 핫했던 텍사스 지역  노동시장의 버팀목이었던 서비스업의 고용마저 큰 폭으로 하락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투입비용이 판매 비용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 서비스업종의 수익성 악화가 예상됨 기업활동 위축중 소비자 신뢰도 급락 향후 전망 급속 악화 가계의 재무상황 악화 Job opening 감소중 컨테이너 화물 비용 감소 관세 이후 물동량 감소 미국의 경제 활동 위축이 단기간에 끝날 것 같지 않음. 

텍사스 제조업 동향.

이미지
 달라스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4월 제조업 동향이 어제 발표 되었다. 하나씩 살펴 보자. 일단 신규 주문이 추락했다.  고용도 감소했다. 신규 주문이 감소하니 고용도 감소할 수 밖에 없겠다. 고용감소 폭이 크지 않은 것은 회사들이 희망을 놓지 않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 같다.  제조 비용은 급격히 증가했다. -> 관세, 중국의 보복. 하지만, 소비자에게 크게 전가시키지 못하고 있다. -> 기업 수익률 하락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코로나 이후 최저치를 기록. 이번 조사에서는 관세에 대한 질문들도 있었는데 그 주요 내용을 요약해 보면 70% 이상 회사들이 관세가 회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소비자에게 비용전가려 시도하려는 회사가 많지만 큰 폭으로 전가하지 못할 회사가 44% 관세에 따른 소비자 가격 상승은 1~3개월 사이에 이뤄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