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와 러시아의 원유 감산은 실패 할 듯.

사우디와 러시아는 전세계에서 원유 생산 1,2위의 나라들이다. 몇일 전 사우디는 전격적으로 원유 감산을 선언했다. 다른 변명(예를 들어 친환경에너지 정책에 대한 반발) 을 대고 있지만 실상은 사우디가 돈이 필요하다. 사우디의 새 왕이 취임하고 500 조를 들여서 사막에 Neom city라는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다른 산업 기반이 없는 나라가 500조를 갑자기 조달하려니 기름값을 올리는 수 밖에 없다.

원유가격을 올려서 건설비를 대는 작전이 성공하려면 누군가가 그 가격에 원유를 수입해줘야 한다. 원유를 소비하는 주요 국가는 미국, 동아시아, 유럽이다. 부동산 위기가 닥친 중국은 높은 원유가격에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유럽은 전쟁때문에 힘들고, 미국은 Fed가 이자율을 높이고 소비자들이 저축한 돈이 말라가면서 점차 경기하락으로 향해가고 있다. 전반적으로 원유를 수입하는 고객들의 돈이 말라간다. 

경기가 좋고 유동성이 풀리는 시점이라면 상품가격이 올라도 소비자가 흡수할 수 있지만 현재 상황은 소비자가 소비를 줄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금 감산을 해서 일시적으로 원유 가격이 올랐지만, 경기 침체가 전망되는 상황에서 원유가격이 고공행진을 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2020년에 감산은 좋은 작전이었지만, 2023년의 감산은 뒷통수를 맞지 않을까. 

댓글

인기있는 글들

Manufacturing survey와 PMI; 신규 주문 감소, 생산단가 상승, 서비스업종으로 불황 확장

하나씩 확인되어 가는 경기 침체의 조짐들

텍사스 서비스업 동향, Consumer confidence, Job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