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24의 게시물 표시

물가전망 Shelter & OER, 2024년 5월 18일

이미지
 미국 CPI중에 Shelter가 잘 안떨어지고 있다. 2022년에 8%를 찍고 2024년 4월 현재 5% 초반대로 내려왔다. 다른 서비스나 소비재항목은 물가가 떨어졌기 때문에 이부분만 3% 초반대로 회귀해주면 물가 목표 달성에 성공하게 된다.  Shelter는 어떻게 계산되는지 구글에 검색해보면... "The CPI calculates OER by counting cash rent paid to the landlord for shelter and included utilities, plus any government subsidies paid to the landlord on the tenant's behalf. For owner-occupied units, the BLS computes what it would cost to rent that home in the current housing market." 실제 렌트증감율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Owners' Equivalent Rent (OER) 라는 것을 조사해서 사용한다. 집주인들한테 렌트 얼마에 내놓을 것인지 물어보고 평균낸 값인 듯. CPI는 렌트뿐 아니라 유틸리티와 정부보조금도 포함된다. 두 항목이 오르는지 떨어지는지도 주의깊게 봐야한다. 아래 그림은 OER, 아파트 건축, 미국 집값의 연간 변화율 그래프인데, 2020년 이후 집값이 크게 상승하고 OER이 따라서 상승했다. 집주인 입장에서 집값이 오르면 Rent를 더 받고 싶을 테니 말이 된다.  90년대 초반에는 OER증가율이 높았는데, 집값이 안정되고 아파트를 많이 지으면서 안정을 찾았다. IT버블이후에도 집값이 오르면서 OER 증가율이 높았는데, 그 전 몇해동안 아파트 건축증가율이 정체되있었다. 그 이후 아파트 증가율이 높아지니 집값 상승률이 높아도 OER증가율은 안정되었다.  금융위기 이후 OER증가율이 잠깐 마이너스를 기록했는데, 금융위기 동안 집값이 떨어진 영향이 있는 듯 하다. 2010년대에는 경기

향후 금융시장 시나리오. 2024년 5월 16일

 현재 미국 금융시장은 굉장히 희한한 상황이다.  먼저 물가는 1분기에는 연율 4.8%, 4월에는 연율 3.6%.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2% 타겟과는 거리가 멀다. 구체적으로 보면 물건 값은 안정되어 가지만 shelter 와 service는 정부와 Fed의 기대와는 달리 하락이 늦어지고 있다. 자재비와 인건비가 오르니 주택 착공과 완공이 늦어지고 아파트와 콘도 역시 예상과 다르게 준공이 늦어지면서 렌트 가격이 쉽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도시에 빈 오피스 빌딩들을 아파트로 리모델링 하면서 공급이 많이 이뤄졌어야 하는데, 투자자나 대출해준 은행이나 오른 금리탓에 자금 여력이 떨어졌다. 오피스 빌딩 투자자들에게 대출해준 은행들을 살리려는 것인지 12월 대선 때문인지 미국 재무부는 단기 채권을 발행하면서 유동성을 공급중이다. 모기지 회사들을 통해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채권 연장을 시켜주고 있는 것 같다. 웃기는 건 이 유동성이 그들에게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경제 시스템에도 퍼지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한국의 1분이 GDP와 유동성인데 한국 정부와 한국은행이 아무짓도 하지 않았음에도 수출과 GDP가 개선되었고 유동성이 늘었다. 더불어 물가도 올랐다. Industrial production이 안좋기 때문에 유동성을 푸는 것이 바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거꾸로 제조업이 안좋은 상황인데도 물가는 여전히 3%를 상회하고 있다는 건 물가상승 모멘텀이 지속적이라는 얘기다.  더불어 바이든 정권은 2024년 예산을 7.3 trillion을 요청했다. 2020년, 2021년에 경제가 어려울때도 이렇게 큰 액수를 책정하지 않았다. 이돈은 결국 경제시스템으로 흘러 들어올 수 밖에 없다.  물가 시나리오를 생각해 보면... A. 물가가 2%대로 떨어진다. 공급된 유동성으로 은행들은 망하지 않고 오피스 빌딩 투자자들도 무사히 리모델링을 마치고 아파트를 공급한다. Fed는 이자율을 낮추고 때마침 재무부도 만기되는 단기 국채를 장기채권

대선과 물가와 경기사이

이미지
대선과 물가와 경기사이 요즈음의 투자의 초점은 물가와 경기 중에 누가 먼저 떨어지느냐이다. 물가가 먼저 떨어지면 Fed가 금리를 내리면서 경기가 완만하게 좋아질 수 있다. 경기가 먼저 떨어지면 Stagflation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단 오늘의 CPI가 예상치 보다 낮게 나오고 1분기 인플레로 촉발되었던Stagflation 에 대한 우려를 잠재워 줬다. 그러면서 미국 증시는 1퍼센트가 넘게 상승했다.  내일은 산업생산지표가 나오는데 시장의 반응은 아마도 나쁜 뉴스가 좋은 뉴스인 듯 반응할 것 같다. 산업생산지표가 예상보다 좋게 나오면 증시는 떨어지고 예상보다 나쁘게 나오면 증시가 올라갈 듯 하다. 아직까지는 투자자들의 촛점이 금리에 더 맞춰져 있어서 그런 것 같다. 경제 상황이 망가지지 않은 상황에서 미래 금리가 낮아질 거라는 기대가 있으면 기계적 또는 산술적으로 현재 주식의 가치가 높아진다.  미국의 산업 생산은 아래 그림에서 보이듯이 작년초부터 현재까지 하락이 진행중이어서 실물경제는 상황이 좋지 않다.  실제로 UBS, Google, Citi, Accenture, Amazon, UPS, Tesla, Walmart 등이 감원을 진행중이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 2023년에 감원 숫자는 2020년을 제외하고 역사적 고점을 찍었다. 작년에 33만명정도가 감원되었는데 올해 1분기에 10만명이 감원됐다. 이대로 가면 2024년에 감원숫자는 또 고점을 찍게 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제는 잘 돌아가는 듯 보인다. 산업생산은 별로인데도 불구하고 미국의 소비와 GDP는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래 그림은 M2, 경제에 나와있는 유동성이다. 물가를 잡아야 하는 상황임이도 불구하고 작년말과 올해 1분기에 시중에 유동성은 증가했다. 재무무 장관의 작품인데 단기 국채를 많이 발행했고 그 돈으로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다. 장기 채권 발행을 피하고 있어서 장기 이자율은 정체중이고 덕분에 오피스 빌딩 투자자나 대출을 해준 은행들이 망하지 않고 버티고

Fed 총재의 기자회견, 2024년 5월 1일

 오늘의 기자회견을 요약하자면 Fed의 정책은 12월에 있을 대통령 중간 선거와는 관계없다.  물가는 안정되어 가고 있지만, 하향추세가 좀 더딘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화긴축 속도는 좀 늦추겠다. 경제는 좋아보이고, Stagflation은 아닌것 같다. 근데 잘 모르겠다.  데이타 나오는 것을 좀 더 두고보자. 듣고나니, Fed총재가 너무 솔직한 성격인 것이 아닌가 싶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이자율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기관의 총재가 국가 경제에 대한 장기 예측이 없는 것 같아 좀 불안하다. 데이타 보고 결정하는 건 누가 못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