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24의 게시물 표시

혹시 Stagflation?

이미지
혹시 Stagflation?  미국 경제는 소비가 70%를 차지하기 때문에 소비활동이 어떤지 주의깊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먼저 소매매출이 최근 어떻게 되었는지를 보면, 2022년 중반부터 소매 매출증가가 예전만 못하다. 물가 상승을 감안하면 실제로 물건이 팔리는 숫자가 줄어들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ASDAQ 이 좋았는데, 온라인 쇼핑은 그래도 늘어났기 때문. 하지만 온라인 쇼핑 역시 증가 속도도 느려지고 있다. 파란색이 소매매출, 빨간색이 온라인 매출. 잘 안보이지만 빨간색이 최근 들어 평평해지고 있다. 온라인 쇼핑이 전체 소매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 보자.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기간동안 외출이 불가능 했으므로, 이 때의 비율 (16.5%) 이 거의 최대 비율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지금은 외출이 가능한 상황인데도 15.6%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 비율이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다. 온라인 쇼핑이 전체 소매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거의 포화에 가까워 보이고, 온라인 쇼핑의 증가세도 거의 한계에 가까운 것 같다. 소비자인 가계의 상황은 어떤지를 살펴 보기 위해 신용카드 연체 비율을 살펴 보자. 07년 금융위기보다는 낮지만 최근 10년래 최대치를 갱신하고 있다.   그래도 가계 소득이 늘어나면 소비가 늘어날 수 있으니 미국 평균 가계 소득을 살펴 보기로 하자.  아래 그림은 물가를 감안한 실질 가계 소득인데, 높은 물가 탓인지 실질 가계소득은 계속 하락중이다.  혹시 가계들이 저축한 돈이라도 많이 남아 있지 않을까? 가계 저축 상황을 살펴 보자. 가계 저축은 연간으로 나와서 아직 2023년 숫자가 없다. 어쨋건 22년말 수치는 19년 수치보다 낮다. 최근 상황을 보기 위해 개인 저축 상황은 어떤지 보자. 개인 저축도 2024년 2019년의 절반정도 수준이다. 데이터를 보면 지난 3년간은 코로나 기간 풀린 돈으로 물가도 오르고 소비도 활발했으나, 점차 저축도 사라지고 실질적인 소득은 오르지 않아서 소비는 크게 증가하지

주의해야 할 때: 실업률 증가 & 부담스러운 주식시장 Valuation

이미지
 주의해야 할 때. 주식투자를 약간 조심해야 할 타이밍이 온 것 같다. 오늘 미국 노동청에서 실업률 발표가 있었다. 취업자 수는 증가 했고 실업률도 3.9%로 증가해서 다소 아이러니한 결과인데.. 취업자수를 계절적인 패턴을 반영해서 계산하기 때문에 이렇게 나온 것이고, 원래 데이터를 보면 노동가능인구가 갑자기 8십만명 가까이 증가했는데 취업이 바로 되지 않아서 실업률이 높게 나왔다. 취직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시간이 지나면 실업률이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  위 그래프는 학력별 실업률인데, 대학학위가 없는 인구의 실업률이 늘어났다. 아마도 지난 2~3년 동안 받아준 불법이민자들이 비자를 받기 시작하면서 이런 경제 지표가 나타나는게 아닌가 짐작해 본다. 추측일뿐 증거는 없다.  주의깊게 봐야 할 것은 과거 경제 위기가 나타나기 전에 패턴인데, 경제 위기전에는 항상 저학력 인구의 실업률이 증가했다. 이번에도 저학력 인구의 실업률이 늘어났는데, 이민자 증가가 있긴하지만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어 보인다. 2년제 학위자들의 실업률(검정색) 까지 올라가는 게 보인다면 그때는 경제 위기가 온다고 봐야 할 것 같다. 향후 2~3개월 실업률 수치를 주의 깊에 봐야 하겠다. 주식시장의 밸류에이션도 상당히 부담스럽다. 아래 그림에서 빨간색이 대형주의 PE ratio 인데, 2020년 이자율이 0에 가까워지면서 확 올랐다가 2023년 하락했고, 지금은 다시 2020년수준으로 복귀했다. 이해하기 어려운 레벨인데 2020년은 이자율이 0에 아까웠지만, 지금은 이자율이 5% 수준이다. 이정도의 valuation은 올해 이자율이 다시 0% 가까이 떨어져야 말이 될 것 같다. 하지만, 최근 Fed는 이자율을 낮출 준비가 안됐다고 했다.  위 그림에서 보라색은 Mag7 과 비슷한 Mag8 인데, 이 친구들의 Valuation 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 지 모르겠다. Nvidia 가 AI칩에 독보적인 매력이 있지만, 70배가 넘는 PE 비율을 정당화 할 정도인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  위 그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