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좋은 경영대가 들어서기 힘든 이유...

근무하고 있는 대학교에 Finance 교수를 한명 뽑는데 원서가 90여개가 왔습니다. 지원자들은 모두 미국 유수 대학원 박사학위자들이고 강의 평가도 좋습니다. 그런데, 지난 5년간 저널에 발표된 논문이 한개 있는 박사가 십여명, 두개이상 발표한 박사는 20명이 안되네요. 안타깝게도 나머지 60여명은 발표된 논문이 없습니다. 현직 교수들도 많았습니다.

포항공대나 카이스트에 있을 때 박사 졸업 요건이 SCI급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는 것이었는데, 그 기준이 비하면 아주 낮지요. 이러다 보니 경영대가 있는 카이스트나 울산과기대 같은 경우 경영대 사람들이 논문을 상대적으로 적게 쓰기 때문에 많은 다툼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영대 교수들의 연봉이 두세배 정도 많으니 시선이 고울 수 없겠죠.

우리나라는 실적 특히 논문 갯수에 따라 연구자의 업적을 평가하고 그 기준이 대부분 공대 위주로 만들어졌습니다. 대학의 관리자들, 총장, 연구처장, 교학처장 등.. 도 그런 기준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다른 기준을 적용하기 꺼려하는 것 같습니다.

만약 카이스트나 울산 과기대의 공대 기준의 교수를 미국에서 뽑겠다고 한다면 Motivation 이 아주 낮습니다. Top journal에 논문이 있는 조교수의 경우 미국에서 연봉이 2억이 넘습니다. 한국에서는 1억 받으면 욕먹죠. 반면, 이공계 교수의 경우는 한국과 미국의 연봉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그러니, 미국에서 경영학 박사를 받은 수 많은 인재들이 한국으로 돌아가 우리나라의 기업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회가 없어지는 것 같습니다.

댓글

인기있는 글들

트럼프 승리이후 경제에 대한 컨센서스와 다른 생각

Non-Farm Payroll data 분석: 자넷과 지나의 무리수

심각한 경제상황: Redfin report, 지역별 실업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