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13의 게시물 표시

첫 등교

개학전에 오리엔테이션이라는 것이 있다. 한국의 오리엔테이션에 대한 기억은 술이 대부분이어서 미국에선 어떻게 하나 기대를 가지고 갔다. 자세히는 기억나지 않지만 쓸모있는 내용들을 알려줬던 것 같다. 집에서 학교까지는 버스나 지하철을 한번 갈아타고 거의 한시간이 걸렸다. 주로 이용한 노선은 147번 express 인데, 호수변 고속도로를 지나 다운타운으로 30분 만에 도착하는 버스였다. 굴절버스였는데, 운전기사는 주로 몸집이 있는 흑인남녀였다. 2007년 즈음엔 굴절버스들이 고장이 잦았다. 고속도로 중간에서 고장나 멈춰선 경우가 간간히 있었고, 집에 가는데 두시간이 걸리곤 했다. 시카고 동쪽으로는 미시건 호수가 있는데, 그 호수변을 따라 수 많은 콘도들과 빌딩이 있다. 호수와 맞닿아 있는 빌딩들은 값도 비싸고, 대부분 안전하다. 오프라윈프리가 살았다는 빌딩은 유일하고 고속도로에서 호수쪽으로 지어졌다. 시카고에는 유명한 건축물들이 많은데, 난 졸업하고 일년뒤까지도 잘 모르고 살았다. 학교에 가니 수 많은 중국학생들이 있었다. 60%는 중국, 30% 인도, 나머지는 일부의 백인과 한국사람들이었던 것 같다. 미국에 간건지 중국에 간건지 구분이 안됐다. 알고보니, 중국에는 일리노이공대 홍보 사무실이 있어, 사람들이 많이 온다고 한다. 그당시에 같이 온 중국인들만 하더라도 그렇게 세련되어 보이지 않았는데 최근에 오는 중국인들은 한국사람같이 옷을 입고 다녀서 구분이 쉽지 않다. 대만인들도 조금 섞여 있었는데, 한 대만인에게 나중에 사기를 당할뻔 해서 아직까지도 대만인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다. 중국인들은 한국인들을 좋아하고, 친절했다. 태국친구들도 우리에게 친절하고 착했다. 인도친구들은 말이 많은 편이었다. 워낙 아시아에서 온 친구들이 많다보니 미국인친구들의 숫자는 적어서 기이하게도 그들이 학교에서 소수민족이던 나에게 다가왔다. 동질감을 느꼈던 것일까. 한국인들은 열명정도 있었다. 대부분 석사과정으로 온 학생들이었고, 박사과정은 나 밖에 없었다. 알고보니

최악의 아파트

'좋은 동네에 안좋은 집을 사라' 부동산 투자의 격언이다. 이 격언은 투자하는 사람에게 해당되는 것이지 나 같이 세들어 사는 사람들에게 적용되지는 않는 말이었다. 처음 들어간 그 아파트에 관한 몇가지를 적어볼까 한다. (지은지 100년이 다 되어 가던...) 유학가거든 집은 좋은데 구하길 바란다.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은 소음이다. 요즘 한국에선 층간 소음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난 옆집의 소음이 문제였다. 옆집에는 싸이코가 한명 살았는데, 한달에 한두번 밤에 잠을 자다가 갑자기 미친듯이 소리를 질렀다. 거기다가 가끔은 여자친구와 전화로 싸우는지 동네가 떠나갈 듯 소리를 지르기가 다반사였다. 문앞에 노트를 적어서 붙여도 보고, 소리를 같이 질러 보기도 했지만, 그 싸이코를 조용히 시키기엔 역부족이었다. 결국 일년 반동안 그 산발적인 소음에 시달려야 했다. 싼방에 살다보니 단열이 될리도 없었다. 두번의 겨울을 그곳에서 보냈는데, 첫해는 정말 사정없이 추웠다. 시카고의 겨울이 춥기도 하였지만, 위풍이 들어오는 그 방에서 오개월에 가까운 버텨낸 나 역시도 되돌아 생각해보면 신기하다. 창문도 틀이 잘 맞지 않아 바람이 많이 들어왔는데, 집에서 밥을 하면 수증기가 창문에 붙어 얼어버려 결국엔 얼음 때문에 창문에 바람이 들어오지 않게 되었다. 정말 이모가 준 오리털 이불이 없었다면 얼어죽었을지도 모르겠다. 이듬해엔 아파트 시설관리인에게 말해 유리창을 모조리 실리콘으로 막아 버렸다. 화재가 나면 위험했으나, 일단 추위를 피하고 싶었다. 그래도 추우면 옷장에 가서 자곤했다. 가끔 설거지를 안해놓으면 바퀴벌레들이 들끓었다. 하루는 잠을 자고 있는데, 이상한 느낌이 나 방에 불을 켰다. 사방에 바퀴벌레들이 놀고 있었다. 잠시 방을 치우고 난뒤 다시 잠이 들었다. 어쩔 수 없었다. 그 사건 이후로는 절대로 설거지를 쌓아놓지 않았다. 바퀴벌레약도 사서 사방에 깔아놓았다. 다행히 효과가 있어 바퀴벌레를 그 이후엔 자주 만나지 못했다. 오래된 집이라 물도